성경과 한문자

<빌 축(祝)>배우기

호렙산 쪽구름 2012. 3. 21. 11:35

 

<축원할, 빌, 축()>익히기 

빌 축(祝) 보일示 + 맏 형

<축원할 축>,< 빌 축>, <축문 축>뜻의  祝(축)자를 관찰하여 봅니다.

 

<보일 시(示)>와 <귀신 기(示)> 두 가지의 뜻과 음을 가진 <보일 시(示)>부수로 10획 문자로 보이지 않는 형이상학적 문자에 많이 사용됩니다.  

     <예 ; 제사(祭祀), 귀신(鬼神), 사직(社稷), 복(福), 예(禮) 등>

 

분해하면 <보일 시(示)>와 <맏 형(兄)>자가 합하여 만들어진 문자로써 종합

하여 <형을 보면서 축원을 비는>사건을 성경 안에서 찾아봅니다.

 

창세기 27장의  이삭의 두 아들 에서와 야곱의 사건들을 생각해보면

이삭이 아들 중 형 "에서"를 축복하고자 하여 보이지 않는 눈으로 찾는

모습을 발견 할 수 있었습니다.(창세기 27장 1-4절)

 

아브라함의 아들 <이삭>은 두 아들 중 맏아들 <에서>에게 믿음의 가문을

이끌어 나가기를 원하여 축복을 빌어 줄 <에서>를 보고자 했지만, 아내<리브가>와 <에서>의 쌍동이 동생 <야곱>의 속임으로 형을 분장하고 거짓된 말로 속이는 <야곱>에게 형<에서>인 줄 알고 야곱을 축복하게되는 사건입니다.

형을 축복 하고자 어두운 눈으로 형을 찾아보는<볼 시(示)>, <맏 형(兄)> 이삭의 모습을 연상하면서 <빌 축(祝)>자를 배워 봅니다.     

 

 * 읽으신 소감과 느낌, 보강하여야 할 점과 다르게 생각하시는 점이 있으면 연락(011-254-1574, horab@hanmail.net)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.

* 글을 읽으시고 이해가 어느 정도 되시는지를 알려 주시면 시정하고   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. 꼭 연락 해주십시오. 감사합니다. 

 

  * 유의사항

이 글은 한문자와 성경의 연관성을 주목하여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 입니다. 학계 또는 권위 있는 기관에서 인정되지 아니 한  단순한 개인적 창작이라 더러는 무리가 있는 해석이라도 한자를 쉽게 익힐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이해하시고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.

 

'성경과 한문자 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<금하다 금(禁)>을 익혀 봅니다  (0) 2012.03.21
<맏이, 형 형(兄)>익히기  (0) 2012.03.21
<입을 피(被)>  (0) 2012.03.21
<착할 善(선)>  (0) 2012.03.20
온전할 全(전) 익히기  (0) 2012.03.20